점점 수축하는 사회에서 우리가 해야할 것들
'수축 사회'는 무엇인가? 이 책에선 우리가 취할 수 있는 경제적 파이가 줄어드는 것을 수축이라 부른다. 따라서 파이는 고정되거나 줄어들어 사람들은 개체를 줄이거나 다른 사람의 파이를 탈취할 수밖에 없는 사회가 바로 수축 사회이다. 수축 사회의 특성은 이러하다. 이기주의, 입체적 전선(언제 어디서든 모두와 경쟁함을 뜻함.), 미래 실종(지금 당장의 이익을 생각한다. 이기주의와 연관 지을 수 있겠다.), 집중화(어딘가 존재할 팽창하고 있는 영역으로의 집중), 정신 병동(전투가 치열할수록 사람들의 정신 상태는 악화된다.). 이 5가지가 책에서 설명하는 수축 사회이다.
이후 미국의 패권이 위협받고 있는 상황, EU 내부에서의 제로섬게임, 세계의 정치적 분열, 후발개도국에서의 빈곤의 악순환을 설명하고, 부채로 인한 글로벌 경제를 살펴보고,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나비효과를 예측하고, 세계 패권에 도전하는 중국에 대해 살펴보며 세계가 수축하고 있다는 의견을 뒷받침한다.
3부에선 수축 사회를 돌파하기 위한 5가지 기본 원칙(원칙을 세우고 지켜라, 미래에 집중하라, 창의성이 답이다, 남다른 무기를 개발하라, 사람을 조심하라.)을 나열하고 각 원칙에 따른 설명을 한 뒤, 현재의 한국을 성찰해보고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해결책을 고민하며 책은 끝을 맺는다.
내가 '수축사회'를 추천한 이유는 긍정적인 시각만을 이야기할 때는 이제 지났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물론 발전하고 성장하는 분야도 있겠지만 이것은 제한적 팽창이고 대부분의 사업군들이 수축하기 시작할 것이라 예측한다. 따라서 수축사회의 정의를 인지하고 이를 대비할 수 있는 인재가 되어야한다.
이후 미국의 패권이 위협받고 있는 상황, EU 내부에서의 제로섬게임, 세계의 정치적 분열, 후발개도국에서의 빈곤의 악순환을 설명하고, 부채로 인한 글로벌 경제를 살펴보고,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나비효과를 예측하고, 세계 패권에 도전하는 중국에 대해 살펴보며 세계가 수축하고 있다는 의견을 뒷받침한다.
3부에선 수축 사회를 돌파하기 위한 5가지 기본 원칙(원칙을 세우고 지켜라, 미래에 집중하라, 창의성이 답이다, 남다른 무기를 개발하라, 사람을 조심하라.)을 나열하고 각 원칙에 따른 설명을 한 뒤, 현재의 한국을 성찰해보고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해결책을 고민하며 책은 끝을 맺는다.
내가 '수축사회'를 추천한 이유는 긍정적인 시각만을 이야기할 때는 이제 지났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물론 발전하고 성장하는 분야도 있겠지만 이것은 제한적 팽창이고 대부분의 사업군들이 수축하기 시작할 것이라 예측한다. 따라서 수축사회의 정의를 인지하고 이를 대비할 수 있는 인재가 되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