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스 슈밥의 제 4차 산업혁명 THE NEXT]
안녕하세요.
저는 클라우스 슈밥의 제 4차 산업혁명 THE NEXT 이라는 책을 추천합니다.
제가 감명깊게 느꼈던 문장들과 저의 느낌을 공유하면서 책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19세기 제도와 20세기 마음가짐으로 21세기 기술을 이해하고 활용해야 하는 임무"
3차 산업혁명의 디지털 네트워크가 2차 산업혁명의 전기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구축되었듯이 4차 산업혁명의 기술들은 3차 산업혁명 시대에 구축된 디지털 네트워크가 필요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산업혁명 간의 연관성을 시대로 표현한 것이 위의 문장이라고 생각합니다.
P.58
"성공적인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열기 위해서 우리는 기술의 속성을 이해하면서 더욱 유용하게 사용할 생각을 해야한다.
동시에 기술이 내포한 목적, 위험, 불확실송에 대해서 세부적인 부분까지도 대화를 나눌 수 있는 능력도 갖춰야 한다."
기술을 사회의 일부이기에 기술 발전과정에서 사회적 가치를 중시해야합니다.
기술이 이러한 가치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항상 신경 써야 하고 기술자들의 가치보다 사회적 가치를 잘 드러낼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입니다.
이런 부분들을 모든 단계에서 고려할 때 기술이 비로소 우리에게 도움이 되는 존재로 다가올 것입니다.
P.124
"경제적 지속가능성을 염두에 두면서 우리가 현재 구축하고 있는 시스템의 한계를 인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새로운 기술들이 개발될수록 우리는 자원의 지속 가능성을 목표로 두고 나아가야 합니다.
'한 방향으로 달려가기 전에 잠시 숨을 멈추고 위험을 고려해야 한다.'라고 말한 캐서린 멀리건의 말처럼 기술 개발 과정에 있어서 한계를 인지하고 그 과정에서 현재 시스템의 문제를 파악하고 개선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P.284
" 4차 산업혁명은 사고방식의 전환을 요구하는데 이 사고의 전환은 단순히 변화의 속도와 규모에 집중하거나 신기술을 개발하고 도입하는데 따르는 새로운 책임을 인식하는 것에 그쳐서는 안된다.
모든 집단과 업계, 개인들에게는 '시스템 리더십' 차원의 행동과 리더십이 필요하다."
문제의 집단적 해결이 필수적인 시대에서 우리 모두는 시스템 리더가 될 책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4차 산업혁명 상황에서 기술적 변화의 다채로운 면을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을 가지는 것과 상황에 대한 통찰력을 가지는 것, 원하는 기술을 개인과 집단에서 이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할 것입니다.
모든 개개인들이 올바른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해 기술을 개발하고 사용한다면 미래에는 보다 풍요로운 우리가 되어 있을 것입니다.
<참고> 시스템 리더십
변화를 위한 공동의 비전을 함양하고 글로벌 사회의 모든 이해관계자와 협력하여 시스템이 주는 혜택의 공유 방식과 대상에 대한 변화를 이끌어 내고자 한다.
우리의 사회 경제 체제의 변화를 유도하여 지난 산업혁명의 실패를 답습하지 않도록 하는 것과 연계된 활동이며, 미래 세대를 포함한 모든 시민들에게 지속 가능한 혜택을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이다.
저는 클라우스 슈밥의 제 4차 산업혁명 THE NEXT 이라는 책을 추천합니다.
제가 감명깊게 느꼈던 문장들과 저의 느낌을 공유하면서 책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19세기 제도와 20세기 마음가짐으로 21세기 기술을 이해하고 활용해야 하는 임무"
3차 산업혁명의 디지털 네트워크가 2차 산업혁명의 전기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구축되었듯이 4차 산업혁명의 기술들은 3차 산업혁명 시대에 구축된 디지털 네트워크가 필요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산업혁명 간의 연관성을 시대로 표현한 것이 위의 문장이라고 생각합니다.
P.58
"성공적인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열기 위해서 우리는 기술의 속성을 이해하면서 더욱 유용하게 사용할 생각을 해야한다.
동시에 기술이 내포한 목적, 위험, 불확실송에 대해서 세부적인 부분까지도 대화를 나눌 수 있는 능력도 갖춰야 한다."
기술을 사회의 일부이기에 기술 발전과정에서 사회적 가치를 중시해야합니다.
기술이 이러한 가치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항상 신경 써야 하고 기술자들의 가치보다 사회적 가치를 잘 드러낼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입니다.
이런 부분들을 모든 단계에서 고려할 때 기술이 비로소 우리에게 도움이 되는 존재로 다가올 것입니다.
P.124
"경제적 지속가능성을 염두에 두면서 우리가 현재 구축하고 있는 시스템의 한계를 인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새로운 기술들이 개발될수록 우리는 자원의 지속 가능성을 목표로 두고 나아가야 합니다.
'한 방향으로 달려가기 전에 잠시 숨을 멈추고 위험을 고려해야 한다.'라고 말한 캐서린 멀리건의 말처럼 기술 개발 과정에 있어서 한계를 인지하고 그 과정에서 현재 시스템의 문제를 파악하고 개선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P.284
" 4차 산업혁명은 사고방식의 전환을 요구하는데 이 사고의 전환은 단순히 변화의 속도와 규모에 집중하거나 신기술을 개발하고 도입하는데 따르는 새로운 책임을 인식하는 것에 그쳐서는 안된다.
모든 집단과 업계, 개인들에게는 '시스템 리더십' 차원의 행동과 리더십이 필요하다."
문제의 집단적 해결이 필수적인 시대에서 우리 모두는 시스템 리더가 될 책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4차 산업혁명 상황에서 기술적 변화의 다채로운 면을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을 가지는 것과 상황에 대한 통찰력을 가지는 것, 원하는 기술을 개인과 집단에서 이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할 것입니다.
모든 개개인들이 올바른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해 기술을 개발하고 사용한다면 미래에는 보다 풍요로운 우리가 되어 있을 것입니다.
<참고> 시스템 리더십
변화를 위한 공동의 비전을 함양하고 글로벌 사회의 모든 이해관계자와 협력하여 시스템이 주는 혜택의 공유 방식과 대상에 대한 변화를 이끌어 내고자 한다.
우리의 사회 경제 체제의 변화를 유도하여 지난 산업혁명의 실패를 답습하지 않도록 하는 것과 연계된 활동이며, 미래 세대를 포함한 모든 시민들에게 지속 가능한 혜택을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이다.